함께 알아가고, 혜택을 놓치지 않는 일상 정보 블로그

일상 속에서 유익한 정보를 함께 공유하고, 육아, 교육, 경제, 정책 관련 최신 혜택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놓치지 않도록 도와드립니다. 모두가 잘 사는 그날까지!!

728x90
반응형

소비자물가지수 13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Yd4lK%2FbtsM460rQkL%2FUMV2PNwfxvE3K1mE57Yxd1%2Fimg.png')"

2025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

📊 3월 소비자물가 전년比 2.1%↑… 외식·가공식품 상승세 여전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전반적인 물가 상승률은 지난달보다 소폭 확대되었습니다.특히 외식, 가공식품 등 생활 밀접 품목의 가격 상승이 이어지면서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3월 소비자물가의 주요 변화와 특징을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3월 소비자물가 요약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 (2월 2.0%)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1.9% 상승생활물가지수(가계 체감 물가) 2.4% 상승 (2월 2.6%)신선식품지수 1.3% 하락 (2월 1.4% 하락)소비자물가지수는 116.29(2020년=100)로, 전월 대비 0.2% 상승했습니다.농축수산물과 서비스 가격 상..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lwt8E%2FbtsLBYWxMRA%2FxDgbCYeaoQyYP7fcn9OXwk%2Fimg.png')"

2024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 및 2024년 연간 소비자물가지수 완벽 정리

안정과 변화의 흐름을  보인 2024년 12월 소비자물가 동향2024년이 저물고 있습니다. 한 해 동안 글로벌 공급망 회복 지연, 국제유가의 변동, 그리고 국내의 금리 변화와 같은 경제적 도전과 변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소비자물가는 여전히 우리 생활에서 중요한 화두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 동향은 올해를 마무리하고 다가오는 2025년 경제 흐름을 예측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농축수산물 가격 변동과 국제유가 안정 여부는 앞으로의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작용합니다. 올해 소비자물가는 대체로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나, 특정 품목에서는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로 2023년의 3.6%에 비해 크게..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IAZYC%2FbtsLA51WFt2%2FyJub5NWrgr3PVVVkcOtHaK%2Fimg.png')"

물가통계의 모든 것!! 인플레이션, 경제정책, 그리고 미래 전망

우리나라 물가통계 개요와 변화 분석이번에 한국은행이 발간한 "우리나라의 물가통계"는 국내 물가지수와 관련한 전반적인 개념, 변동 추이, 개편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물가지수는 경제정책 수립과 경제 동향 분석에 필수적인 자료로, 특히 생산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수출입물가지수 등이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자료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물가통계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해보려고합니다. 물가지수의 정의와 종류  물가지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수치화하여 경제적 변화, 특히 인플레이션 및 디플레이션을 측정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쉽게 말해, 물가지수는 경제의 "체온계"와 같아, 현재의 경제 상태를 진단하고 적절한 처방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물가지수..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hLd50%2FbtsI5Ap10JM%2F10d8sZ4KuTV3f1hk6E13P0%2Fimg.png')"

2024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24년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대비 2.6%, 전월 대비 0.3% 상승...지수와 다르게 물가는 불안정하기만 하다.2024년 7월, 한국의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습니다. 이는 전월의 2.4%에서 상승한 수치로, 최근 몇 달간의 하락세를 멈추고 다시 상승세로 전환된 것입니다. 이번 물가 상승은 주로 과일과 석유 제품 등의 가격 인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2024년 7월, 한국의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0.3% 상승했습니다. 전기·가스·수도의 가격은 하락했으나, 서비스, 공업제품, 농축수산물의 가격 상승이 전체 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부문별 물가 동향 농축수산물은 전월 대비 0.9%, 전년 동월 대비 5.5% 상승했습니다.특히 신선식품 중 신선과실의 가격이 전년 대비 21..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hIsPi%2FbtrLF2YvMqw%2FK64RZxYDshiDEBk3SH9Rt1%2Fimg.png')"

2022년 8월 소비자 물가지수 동향 발표

8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5.7% 상승, 전월비 0.1% 하락…전월보다 감소…그러나… 통계청은 2022년 8월 소비자 물가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석유류 등 공업제품의 상승폭이 큰 폭 둔화되며 전년 동월비 5.7%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국제 유가 하락으로 인해 2020년 11월 이후21개월 만에 하락으로 전환된 것으로 보여지나 아직 물가 불안요인이 지속 잠재되어 있어 추후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22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 22년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62로 전월인 7월(108.74)보다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5.7% 상승된 것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지수는 상승폭이 줄어든 것으로 물가상승이 끝나거나 줄어든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합니다. ..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AJ2s%2FbtrJB4qDU88%2F2UzCN5zHhIGEaWa1VMcmU1%2Fimg.png')"

2022년 7월 소비자물가 지수 동향 발표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6.3% (전월비 0.5%)상승…점점 확대 통계청은 2022년 7월 소비자 물가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근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4.5% 상승,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동월비 7.9%, 신선식품지수는 전년동월비 13.0% 상승이 지속되는 것으로 발표했습니다. 22년 7월 소비자물가 동향 22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74로 전월인 6월(108.22)보다 0.5% 상승, 전년동월대비 6.3% 상승된 것으로 발표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상승의 원인에는 농축수산물의 큰 폭 오름세 확대와 함께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 상승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발표된 소비자물가 지수보고서에 의하면 농축수산물의 경우 폭염 및 장마철 등으로 인한 기후 영향과 생산비용 증..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U9jO4%2FbtrEcRxylqZ%2FukVTN325HEAfNO6U6giip1%2Fimg.png')"

2022년 5월 소비자 물가지수 동향 발표

5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5.4% 각각 상승…점점 확대 통계청은 2022년 5월 소비자 물가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농축수산물의 오름세 확대와 함께 석유류와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 외식 등 개인서비스 상승세 확대가 전월에 이어서 지속되면서 전년동월비 5.4% 상승한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특히 휘발유 등 석유류 상승에는 유럽연합(EU)의 러시아산 원유 부분 금수 조치 추진 등국제유가 상승 압력이 계속되면서 오름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2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 22년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56으로 전월인 4월(106.85)보다 0.7% 상승, 전년동월대비 5.4% 상승된 것으로 발표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상승의 원인에는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개인서비스 상..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iJA53%2FbtrBIxAmsRH%2Fx8gWTPryGqMzkotzdwdZMk%2Fimg.png')"

2022년 4월 소비자물가 지수 동향 발표

4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4.8% 각각 상승 통계청은 2022년 4월 소비자 물가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4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2,3월과 비슷한 양상으로 석유류와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 외식 등 개인서비스 상승세 확대가 지속되고 농축수산물의 소폭으로 오르면서 전년동월비 4.8%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2년 4월 소비자물가 동향 22년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로 전월인 3월(106.06)보다 0.7%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로는 4.8%로 상승된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상승의 원인에는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개인서비스 상승폭 확대가 지속되었고 생활물가지수와 신선식품지수의 상승폭 확대 등이 원인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농산물은 출하량 증가 등 ..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Ixn7F%2FbtryyfwTofB%2Fwaqo9ddfubsLvFkURakzK0%2Fimg.png')"

2022년 3월 소비자 물가 지수 동향 발표

3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4.1% 각각 상승 통계청은 2022년 3월 소비자 물가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전월과 비슷한 양상으로 농축수산물의 오름폭은 둔화되었으나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개인서비스 상승폭이 확대가 지속되면서 2월에 비해0.4% P 상승한 4.1%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휘발유 등 석유류 상승이 문제인데 이는 우크라이나-러시아 교착상태가 장기화 등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오름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2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 22년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6.06으로 전월인 2월(105.30)보다 0.7%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로는 4.1%로 상승된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상승 원인에는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개인서비스 상승폭 확대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