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알아가고, 혜택을 놓치지 않는 일상 정보 블로그

일상 속에서 유익한 정보를 함께 공유하고, 육아, 교육, 경제, 정책 관련 최신 혜택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놓치지 않도록 도와드립니다. 모두가 잘 사는 그날까지!!

728x90
반응형

정책 알림정보/생각과 이야기 7

비상계엄은 정치의 도구가 아니다. (개인적인 생각)

정치는 정치로 해결해야 합니다.2024년 12월 4일, 한국 민주주의는 중대한 시험대에 올랐습니다.비상계엄이라는 단어가 다시 현실이 된 이 사건은 우리 사회에 깊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민주주의의 원칙과 국민의 기본권을 지키는 것, 그리고 정치적 갈등을 해결하는 것 사이에서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비상계엄은 헌법이 보장하는 비상조치로, 국가 존립을 위협하는 극단적인 상황에서만 사용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그러나 이번 계엄령은 “야당에 경종을 울리고 공공질서를 유지한다”는 명분 아래 선포되었고, 이는 많은 의문을 남겼습니다. 국민의 기본권을 억압하면서까지 정치적 갈등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민주주의를 향한 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태를 통해 우리는 계엄령의 본질과 남용의 위험, 그리고 그것이 ..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ojGnx%2FbtsKONt2WGm%2FHNbcyI5Zra8wxkKrUFNdY0%2Fimg.png')"

공공서비스의 파업, 일반 서비스의 파업과 다르다!! 시민 피해 없는 공공서비스 파업, 불가능한가?

"왜 우리가 당신들의 싸움에 끌려들어야 합니까? 이유를 알려주세요." 최근 두 가지 일을 겪었습니다. 하나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려다가 응급 서비스가 제한된 일이었습니다.뉴스에서 본 이유 때문이라는 말을 들었지만, 정작 그것에 대해 제대로 알려주고 말해주는 곳은  없었습니다.중요한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해 답답하고 불안했던 기억이 남아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대중교통 파업으로 인한 불편함이었습니다.지하철이 지연되면서 출퇴근길이 두 배는 힘들었고, 평소보다 훨씬 지쳐야 했습니다.이날도 역시 누구하나 그 이유에 대해서 말해주는 곳은 없었습니다. 그렇게 제게 남은 것은 "이건 또 무슨 이유일까? 왜 이렇게 힘들게 하지??"라는 생각만 들었습니다. 두 사건은 다른 날에 일어난 일이었지만, 공통적으로 나 같은 평범..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cyp2%2FbtsKMouzkJ4%2FGzZ7rDwGzFv3V5K425WI7K%2Fimg.png')"

남산곤돌라 논란, 환경 훼손인가? 공익을 위한 선택인가?

남산곤돌라, 환경과 공익성 사이에서 멈춘 논란 남산, 서울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사랑받는 공간입니다.그런데 지금 남산은 새로운 시설인 '곤돌라' 설치 문제로 뜨거운 논란의 중심에 있습니다.남산을 더 쉽게 오를 수 있다는 기대와, 환경 훼손 우려가 맞물리며 찬반이 팽팽히 갈리고 있는데요.곤돌라는 과연 누구를 위한 선택일까요? 서울시는 곤돌라 사업을 통해 시민과 관광객 모두가 남산을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그러나 곤돌라 설치 과정에서 불거진 환경 훼손 문제, 기존 시설과의 중복 논란, 그리고 법적 갈등이 이어지며 사업 추진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전글에는 남산케이블카와 남산곤돌라의 문제를 다뤘습니다.2024.11.14 - [정책 알림정보/생각과 이야기] - 남산케이블카, 누가 운..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6v9B%2FbtsKJNOlbr3%2FU0JaZAn3x8Q5TXf7XpDOOK%2Fimg.png')"

남산케이블카, 누가 운영하고 있었나? 그리고 이슈는? 다른 지역은?

서울 남산케이블카 공공성 논란과 남산곤돌라 도입 배경, 그 차이는?  서울의 대표 명소인 남산케이블카가 최근 공공성 문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962년 사기업 운영으로 시작되어 지금까지 60년 넘게 이어져 온 남산케이블카는 서울의 상징적인 시설이지만, 높은 요금과 부족한 공공성 문제로 시민들 사이에서 아쉬움이 컸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남산곤돌라 사업을 통해 남산을 찾는 시민과 관광객 모두가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남산곤돌라가 완공되면 남산케이블카와 공존하면서 시민들에게 더 나은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남산케이블카와 남산곤돌라의 운영 방식과 공공성 문제, 서울시가 남산곤돌라 사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다른..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DWPZ%2FbtsJWRqn1f7%2FYPV88JBcMGzUjO9aW3BUKk%2Fimg.png')"

2023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발표, 생명의 소중함과 다시 찾는 희망

2023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발표를 보면서... 2024년 10월 4일, 통계청에서 2023년 사망원인결과 통계를 발표했습니다.통계에 따르면, 자살로 생을 마감한 사람은 13,978명에 이릅니다.이는 전년 대비 8.3% 증가한 수치로, 인구 10만 명당 27.3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했습니다.하루 평균 38.3명이 자살을 선택하고 있다는 이 현실은 가슴을 먹먹하게 합니다.자살률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80세 이상(59.4명)으로, 60대, 50대, 10대에서 자살률이 특히 증가했습니다. 한국은 여전히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OECD 평균(10.7명)과 비교했을 때 그 수치가 두 배 이상이라는 점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큰 과제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vqVr%2FbtsJE86UNHP%2FkU6twHnfF4NZVO85pkWpmk%2Fimg.png')"

번아웃으로 지쳤나요? 나를 돌보는 번아웃 극복방법

번아웃에서 벗어나기!! 지친 현대인을 위한 치유의 길 요즘 의욕이 없는 일상을 보내고 계신가요?하루하루가 고되고, 아무리 쉬어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시나요?저도 그런 순간들이 많았어요.아무리 노력해도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는 것 같고, 마음속 깊은 곳에서 번아웃이 서서히 자리잡고 있지는 않은지 걱정하게 되죠.우리 모두 겪을 수 있는 일입니다. 이 글은 그런 여러분을 위해, 작은 위로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번아웃이란 무엇인가?   번아웃은 단순히 몸이 피곤한 것 이상입니다.마음과 정신이 함께 지쳐가는 상태로, 그 결과 모든 의욕을 잃고 무기력해지는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그동안 열심히 달려왔던 길이 갑자기 막힌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이때 중요한 것은 이런 ..

has-thumbnail="1" style="background-image:ur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zXwAw%2FbtsJiFYtY9S%2Fkfp4RaOxWDRZ4nqKW5mS6K%2Fimg.png')"

간호법 찬반 논쟁: 국민과 환자의 안전을 위한 올바른 선택은?

간호법, 올바른 선택은?우연히 뉴스를 보던 중, 응급실에서 여러 병원을 전전하다 결국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한 환자에 대한 소식을 접했습니다. 이 비극적인 사건은 우리의 의료 시스템에서 무엇이 잘못되고 있는지를 다시금 생각하게 만듭니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뉴스와 각종 포털에 오르내리는 간호법의 필요성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간호사들의 헌신과 현실적인 고민  간호사들은 의료 현장에서 환자들을 돌보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하지만 현재의 의료 환경에서는 그들의 헌신이 종종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고 있습니다.전공의 파업 사태에서 간호사들은 과중한 업무를 떠안으며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피로와 스트레스가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상황에서 간호법은 간호사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