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알아가고, 혜택을 놓치지 않는 일상 정보 블로그

일상 속에서 유익한 정보를 함께 공유하고, 육아, 교육, 경제, 정책 관련 최신 혜택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놓치지 않도록 도와드립니다. 모두가 잘 사는 그날까지!!

경제이야기/물가지수동향

2021년 5월 소비자 물가지수 동향

훈련소 2021. 6. 3. 01:30
728x90
반응형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비 2.6% 각각 상승. 농축수산물 강세가 지속되고, 석유류가 기저효과로 크게 오르면서 4월 대비 오름폭이 확대되었다.

이번에 발표된 5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5월 물가상승률이 연중 최저치를 기록한 기저효과 등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5월에 국제유가 급락에 따른 석유류 가격 하락 등으로 물가상승률이 매우 낮았던 때로 이로 인한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저효과를 제외한 전월비는 4월보다 상승폭이 축소된 0.1%를 기록하여 전월비 물가흐름은 점차 안정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출처: 통계청 - 소비자물가지수 등락률>
<출처: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21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46으로 전월비는 전기・수도・가스는 변동 없으며, 농축수산물은 하락하였으나, 공업제품, 서비스가 상승하여 전월 107.39보다 0.1%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전년동월비는 전기・수도・가스는 하락하였으나, 농축수산물, 공업제품, 서비스가 상승하여 전년 5월 104.71보다 2.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농축수산물은 봄작형 채소류(봄배추, 조생양파, 봄대파 등) 출하 등으로 전월대비 가격이 하락하였으나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석유류는 국제유가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작년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3.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오름폭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식품은 116.59로 전월대비 0.2% 하락, 전년동월댜비 4.7% 상승했으며, 식품이외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2.5% 상승했다.

전월세포함생활물가지수전월대비 변동 없고 전년동월대비 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선어개, 신선채소, 신선과일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0개 품목으로 작성된 신선식품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3.0% 하락하여 오름폭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소유주택을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여 얻은 서비스에 대해 지불한 비용을 포함하여 작성된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107.08로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2.4% 각각 상승했다.

 

품목성질별 동향을 보면 전기・수도・가스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4.8% 하락했으며 집세, 공공서비스, 개인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부분은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5% 각각 상승했다.

<출처: 통계청 21년 5월 소비자동향지수 - 품목성질별 동향>

집세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1.3% 각각 상승했다.

공공서비스는 작년 5월 유아학비 지원금 인상의 기저효과가 소멸되며 하락폭이 축소하여 전년동월대비 0.7%하락했다.

개인서비스는 고교 무상급식 확대 기저효과가 소멸되고 공동주택관리비 등이 상승하면서 상승폭이 확대되어 전월대기 0.2%, 전년동월대비 2.5% 각각 상승했다.

 

▶︎추후 동향은?

이러한 5월 소비자물가 흐름으로 예상되는 6월 소비자물가는 기저효과가 일부 완화되어 오름폭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며 하반기에는 농축수산물이 공급 회복 등으로 점차 하향안정화되고 국제유가가 60불대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물가여건이 개선될 것이고 이로 인해 연간 기준 물가안정 목표인 2%를 상회할 가능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금년 중 물가 상방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하여 선제적으로 안정적인 물가관리 노력이 필요하며 기상여건 악화 등 농축산물 가격 불안 지속, 국제원자재 가격 추가 상승, 백신보급 확대로 인한 소비 증가 등 물가 상방리스크 요인이 존재하여 물가 불안요인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되지 않도록 물가관계차관회의 중심으로 적극 대응 및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다음 6월 소비자물가지수 동향은 7월 2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728x90
반응형